주민에 의한 새로운 변화의 시작 ‘사고(Buy), 보고(See), 즐겨(Joy)’

고기, 볼거리, 즐길거리가 가득한 곳!

결실의 계절 가을이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높고 푸른 가을 하늘이 마치 바닷물을 머금은 듯 깊고 맑고 눈이 시릴 정도로 청명합니다. 붉게 물들어가는 산과 황금벌판에는 가을 수확을 하는 농부들의 손길도 분주합니다.이처럼 아름다운 결실의 계절에 사람과 사람 간 직접 소통이 어려워 많은 축제가 취소되거나 간소화되고 있습니다. 송악읍 주민자치회에서 코로나 시대에 마음까지 방역하는 이색 축제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기지시 줄다리기 박물관 광장으로 향했습니다.

주민 자치 회원과 시민, 농민이 조화하고 사고 보고 즐기는 “2020송악읍 비대면 주민 총회 사업”의 준비로 바쁩니다.송악읍 주민 자치회(회장 최·챠은규)이 올해 9월에 온라인 주민 총회를 통해서 결정된 마을의 의제 사업”주민이 만드는 문화의 거리”,”지역 농민들이 재배한 농사 특산물 드라이브 스루”,”송악읍 자동차 극장”을 생활 속에서 거리 두기를 실행하는 가운데 추진하기로 했대요.행사 시간이 임박하자 1,2대의 차가 들어옵니다.자원 봉사 센터에서 나온 학생들과 송액마마파토로ー루대 행사 관계자들이 팀을 짜고 발열 점검을 하는 노란 리스트 밴드를 부착한 뒤 행사 배치도와 주민 자치회 로고가 새겨진 마스크 트랩을 선물합니다.

이벤트의 배치도에 따라서 천천히 드라이브합니다.농산물 직거래 장터에서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과 긴 장마를 극복한 고구마, 찹쌀, 청국장, 양파, 아로니아, 오디 즙 등 직접 키운 다양한 농산물과 음식이 나란히 있습니다.판매 부스 앞에서 정차하고 구입 의사를 밝히면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결제하면 물품을 수레에 싣고 줍니다.두 사람이 먹고 한명이 죽어도 모른다고 이야기된 당진 명품 황토 고구마”을 구입하기에 부스 앞에 차를 세우고 결제를 마치면 판매자가 트렁크에 고구마를 내줍니다.서해안의 미네랄 등이 풍부한 황토로 바닷바람도 쐬고 자란 당진에 나루 황토 고구마는 단맛이 일품으로 식물 섬유가 풍부하고 변비 예방은 물론 다이어트 식품으로 해마다 인기를 더하고 있습니다.또 브랜드의 고품질화를 통한 농가 소득 증대는 물론 제6차 산업화를 통해서 다양한 고구마 음식으로 활용하고 건강식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소라껍질에 식재한 다육식물과 국화화분 체험, 새싹인삼, 아로니아효소, 달걀 등 농부들의 정성이 담긴 다양한 물건을 구경하며 구입하다니 어릴 적 오랫동안 구경하던 추억이 떠올라 시나브로 동심 속에 빠집니다.

직거래 시장에 참여했다”초적 농원”송·미희 대표를 만나고 참가 소감을 들어 보았습니다.”평소에는 로컬 매장에서 농산물을 판매하고있습니다만.드라이브 스루 직거래 시장이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드라이브 스루 판매 방식을 경험하고 싶어서 참가했습니다.아직 낯선 판매 방식이기 때문에 참가에 의의를 두고 큰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직접 거래 시장에서 주민과 재밌는 소통과 충실한 프로그램으로 보람 있는 하루를 만끽할 수 있었습니다.주민들과 함께는 곳에서 드라이브 스루에서 물건도 사서 공연도 보고 영화도 볼 수 있는 기지시 줄다리기 박물관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송악 주민들에게는 큰 혜택인 감동이었습니다.앞으로 이런 시장이 활성화하고 지역의 농업인들이 판로 걱정 없이 농업을 경영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영화 볼 때 팝콘이 빠지면 곤란하잖아요. 팝콘도 듬뿍 담아 행사장을 찾는 사람들에게 무료로 나눠주고 있네요.송악주민자치회 배병찬 사무국장의 사회로 2020 송악읍 ‘언택트’ 주민총회 사업의 막이 올랐습니다.송악읍 최·챠은규 주민 자치 회장은 인사를 통해서”마을의 주인인 주민이 주체가 되어 마을에 변화와 희망을 만드는 안전하고 살기 좋은 송악읍을 만들어 갑니다.COVID-19라는 악재 속에서 처음 시도”안 닥트”방식의 주민 총회 사업이라 시간 부족으로 홍보, 운영 등 미흡한 부분이 있었습니다.그러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앤 지휘봉을 넘어 온 텍토 시대에 재빨리 대응할 수 있는 첫걸음을 내디딜 수 있었습니다.앞으로 미비한 점은 상호 보완하는 오늘의 주민 총회 사업을 시작으로 마을의 주인인 주민이 주체가 되고 마을에 변화를 주고 희망을 낳는 나비 효과를 줄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당진시립합창단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강사와 수강생들의 신나는 문화공연이 이어졌습니다.지역 가수들과 뮤어밴드 초청 공연이 이어지고 ‘주민이 만드는 문화의 거리’도 진행되어 줄다리기 광장에 모인 시민들의 흥을 돋우고 행사가 점점 무르익어갑니다.행사장을 찾은 아이들을 위한 만들기 코너에서는 병뚜껑을 재활용하여 장난감도 만들어 봅니다.어둠이 잠기자 광장은 자동차 극장으로 바뀌면서 누구나 함께 할 따뜻한 가족 영화” 낡은 자전거”가 상영됩니다.라디오 주파수를 HMZ에 설정해야만 자동차 안에서도 현장감 있는 스테레오 음향으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늙은 자전거”은 할아버지와 손자의 언쟁 속에서 현 세대의 가족관을 엿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방치와 포용의 인간 관계와 세대 간 갈등을 미래를 상실한 존재와 과거를 잊은 존재의 대립 장면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라는 상황에 놓인 우리의 인생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또 아들을 잃은 아버지와 아버지를 잃은 아들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모든 갈등을 상생과 공존의 포용으로 끌어안는 장면에서는 COVID-19인 상황에서 자칫 혐오가 일상화될 수 있는 우리의 인생의 나침반을 발견하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또 미래의 기대를 잃은 기성과 과거의 자양분으로 방치된 신생에 확장되는 장면에서는 대중성과 철학성이 스크린에 그대로 담겼으며”코로나 시대에 인생”이란 화두를 던지는 생동감이 있는 육중한 의미의 감동작이었습니다.어둠이 지면 광장은 자동차 극장으로 바뀌고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는 따뜻한 가족영화 ‘오래된 자전거’가 상영됩니다. 라디오 주파수를 HMZ로 설정해야 자동차 안에서도 현장감 있는 스테레오 음향으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늙은 자전거’는 할아버지와 손자의 말다툼 속에서 현 세대의 가족관을 엿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방치와 포용의 인간관계와 세대 간 갈등을, 미래를 잃은 존재와 과거를 잊은 존재의 대립 장면에서는 코로나19라는 상황에 놓인 우리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아들을 잃은 아버지와 아버지를 잃은 아들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모든 갈등을 상생과 공존의 포용으로 끌어안는 장면에서는 코로나19라는 상황에서 자칫 혐오가 일상화될 수 있는 우리 삶의 나침반을 발견하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미래의 기대를 잃은 기성과 과거의 자양분에서 방치되어 버린 신생으로 확장되는 장면에서는 대중성과 철학성이 스크린에 고스란히 담겨 있어 ‘코로나 시대에 인생’이라는 화두를 던지는 생동감 있고 묵직한 의미의 감동작이었습니다.어둠이 지면 광장은 자동차 극장으로 바뀌고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는 따뜻한 가족영화 ‘오래된 자전거’가 상영됩니다. 라디오 주파수를 HMZ로 설정해야 자동차 안에서도 현장감 있는 스테레오 음향으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늙은 자전거’는 할아버지와 손자의 말다툼 속에서 현 세대의 가족관을 엿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방치와 포용의 인간관계와 세대 간 갈등을, 미래를 잃은 존재와 과거를 잊은 존재의 대립 장면에서는 코로나19라는 상황에 놓인 우리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아들을 잃은 아버지와 아버지를 잃은 아들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모든 갈등을 상생과 공존의 포용으로 끌어안는 장면에서는 코로나19라는 상황에서 자칫 혐오가 일상화될 수 있는 우리 삶의 나침반을 발견하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미래의 기대를 잃은 기성과 과거의 자양분에서 방치되어 버린 신생으로 확장되는 장면에서는 대중성과 철학성이 스크린에 고스란히 담겨 있어 ‘코로나 시대에 인생’이라는 화두를 던지는 생동감 있고 묵직한 의미의 감동작이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